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숨과사전_세종대왕편

by sum-in 2023. 2. 4.
반응형

조선시대에 태어난 첫 임금 세종대왕

세종대왕의 본관은 전주 이름은 이도이며, 자는 원정이다.

그는 태종의 셋째 아들로, 선왕이었던 태종의 뒤를 이을 왕세자는 양녕대군이었다.

그러나 양녕대군이 개와 매에 관계된 사건을 비롯해, 세자로서의 품위를 손상시킨 일련의 행동과 사건들로 인해 양녕대군이 폐세자가 되어 왕세자가 되었다가 22세의 나이로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세종대왕은 1392년 조선이 건국되었고, 1397년 태어나 조선시대에 태어난 첫 임금으로 알려졌다.

그가 조선조 제4대 임금으로 재위하면서 모든 면에서 뛰어난 능력으로 발전이 많았던 시기였으며, 많은 업적을 남기셨다.

세종대왕의 대표적인 업적은 바로 훈민정음 창제

세종대왕의 빛나는 많은 업적 중 대표적인 업적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이다.

그는 한글을 창제하기 이전부터 언어와 음운학 분야에 관심이 많아서 이 부분을 심층적으로 연구했다.

1443년 훈민정음 28자를 연구·창제하고 3년 동안 다듬고 실제로 써본 연후인 1446년 9월(음력)에 이를 반포함으로써 민족적 주체성을 통한 우리 민족 문화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오늘날 한글은 그 원리나 형태가 독창적이고, 과학적이며, 익히기 쉽고 편리하여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글자로 평가되고 있다. 당대 한반도 최고의 언어학자라고 보아도 무방한 만큼 학문적 성취에 대한 자존심도 상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글 창제의 더 큰 의의는 한문을 무조건 숭상하던 많은 학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나라와 백성의 앞날을 위하여 우리의 글을 만들어 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한글 창제의 부수적인 효과이기도 하지만 한글로 외국어를 표기하기가 간편해져서 세종대왕은 중국어 발음을 조사한 뒤 한글로 외국어 표기를 하여 외국어 교본을 만들었다.

덕분에 혼자서도 외국어 발음 공부가 가능하게 되어 회화 중심의 외국어 교육의 기초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일제강점기가 되면서 문법과 독해 중심의 교육으로 변경되었고 지금까지 영 좋지 않은 영향으로 남아있다.

두 번째 업적 - 유교정치의 기틀 마련

세종대는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유교정치, 찬란한 문화가 이룩된 시대였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으로 안정되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전반적인 기틀을 잡은 시기였다.

즉, 집현전을 통해 많은 인재가 양성되었고, 유교정치의 기반이 되는 의례·제도가 정비되었으며, 다양하고 방대한 편찬 사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농업과 과학기술의 발전, 의약기술과 음악 및 법제의 정리, 공법(貢法)의 제정, 국토의 확장 등 수많은 사업을 통해 민족국가의 기틀을 확고히 하였다.

세 번째 업적 - 새로운 음악으로 태어나다.

조선 초기 까지의 음악은 고려시대부터 전해오던 음악과 중국음악이 서로 혼합되어 무질서한 상태였으나 세종대에 이르러 정리하였는데, 이는 아악의 부흥과 향악의 창작이었다.

세종대왕은 박연 등으로 하여금 각종 악기를 만들게 하고 특히 편경과 편종을 새로 제작하였으며, 악곡·악보 등을 종합 정리하여 바로잡아 아악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네 번째 업적 - 과학의 진흥

세종대왕은 국민을 위하여 농업을 진흥하려는 데 뜻을 두고 한평생을 천문, 지리 등 과학기술을 연구 보급하는데 전력을 쏟았다.

장영실, 이천 등 젊은 과학자들을 격려하여 천문관측기구인 대·소간의, 일성정시의, 혼천의, 시간을 재는 앙부일구(해시계)와 자격루(물시계)등 을 만들었다.

또한 측우기를 제작하여 서울과 지방에서 강우량을 측정토록 했으며 수표를 만들어 하천의 수위를 재게 하고 외국의 역법(曆法)을 참작하여 역서와 천문도를 제작했다.

이리하여 천문·지리 등 과학기술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세종대왕의 일생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만 전념하였고, 22세부터 왕위에 올라 열정적으로 국정을 돌보았다.

육식을 즐겼지만 몸을 쓰는 신체활동은 즐겨하지 않아 비만과 각종 성인병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으며,나이가 들면서 정무를 볼 수 없을 만큼 건강이 악화되어 재위 24년부터 장남인 세자향에게 국정을 대리 청정하게 하였다.국정에서 물러나면서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당시의 문자인 한자를 쉽게 배우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기며 28개의 글자를 창제하였다.계속 건강이 악화되면서 음력 2월 17일 향년 52세에 승하하였다.마지막으로 세종대왕은 가장 위대하고 존경해야 하는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존경하는 위인 세종대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