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숨과사전_직업 의사편

by sum-in 2023. 2. 9.
반응형

의사란?

의사는 '국가 면허를 취득하여 의술과 약으로 병을 치료, 진찰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공인된 면허를 취득하지 않고 사람을 진단하고 치료할 경우 법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면허는 국가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아 다른 나라에서 진료하면 무면허 의료행위로 처벌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규정된 조건과 절차를 거쳐 국가의 면허를 반드시 취득해야만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의사가 되는 방법?

대한민국에서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2가지의 방법이 있다.

첫 번째, 6년 과정의 외과대학이나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서 학업을 마쳐 졸업한 후 의사 국가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해 의사 면허를 발급받으면 의사가 될 수 있다.

두 번째,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한 외국의 의과대학을 졸업해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해외의 의사면허 소지자가 한국의 의사국가고시 예비시험을 합격하여 국가고시 응시자격을 얻어 국가고시에 합격하면 의사면허가 나와서 의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해외에서 의사면허를 취득한다 해도 결국 한국 의사 면허 취득에는 상당수가 실패한다.

의사 국가고시 응시 자격을 받기 위해 치는 예비시험 합격률은 1/3 남짓하며, 실력이 좋은 사람은 시험을 두세 번 보고 합격하는 사람들도 있고 몇 년째 계속 낙방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의학은 인간의 몸을 연구하고 지병으로부터 인간의 몸을 지켜내기 위한 고귀하고 숭고한 학문이며, 의사는 이를 실행하는 사람이다.

의사의 장점이라 하면 의사라는 직업은 전문직으로 면허제라서 다른 직업에 비해 비교적으로 자유롭게 일할 수 있으며 나이의 제한이 없다. 따라서 직업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얼마든지 성취해 나갈 수 있다.

 

수련 기간에 따른 분류

  • 일반의의사가 되면 진료를 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데 의사면허만을 취득한 의사를 일반의라고 말한다.
  • 수련의는 인턴으로, 레지던트 과정에 들어가기 전에 1년 동안 병원에서 수련하는 과정 혹은 그 과정을 밟고 있는 의사를 말한다. 
  • 전공의는 인턴을 마친 사람이 전공의 시험에 통과한 후 각 진료과에서 3-4년 정도 수련하는 과정 및 그 과정을 밟고 있는 의사를 말한다.
  • 전문의는 의사 면허를 취득한 뒤, 인턴 및 레지던트 과정을 모두 마치고 원하는 전문과목을 응시하여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말한다.

전문의 종류

  • 기초의학 - 병리과, 핵의학과, 산업의학과
  • 임상의학 - 내과, 신경과, 정신과, 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성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기과, 영상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진단검사의학과, 결핵과, 재활의학과, 예방의학과, 가정의학과, 응급의학과 등

전문의는 기초의학 분야에 3가지, 임상의학 분야에 23가지로 총 26가지에 달한다.

의사에게 필요한 가져야 할 마음자세

의사는 질병 치료에 전문지식을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기본 자질이 필요하며, 전문적인 규범과 자율규제를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직무윤리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환자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보호자, 의료진, 사회와 상호 소통하고 협력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의사를 소재로 한 작품

의료행위에 중점을 맞춘 대표적인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 골든타임: 응급의학과와 외상외과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 구암 허준: 한의학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 낭만닥터 김사부 1~2: 일반, 흉부, 신경외과 등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 뉴하트: 흉부외과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 하얀 거탑: 소설가 야마사키 도요코의 소설 '백색거탑'을 원작으로 한국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었으며, 일반외과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의학지식에 중점을 맞춘 대표적인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 검법남녀: 법의학을 중심으로 하면서 동시에 범죄 수사물을 지향하는 드라마이다.
  • 신의 퀴즈: 메디컬 범죄 수사극을 표방하여 원인불명 혹은 희귀 질환에 의한 사망이 의심되는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드라마이다.
  • 싸인: 법의학을 소재로 한 메디컬 수사 드라마이다.

이외의 중점을 맞춘 대표적인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 굿닥터: 의학 기술보다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소통에 중점을 둔 휴먼드라마계열이지만 주인공이 서번트 증후군을 앓고 있는 소아외과 레지던트이다.
  • 닥터스: 신경외과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 닥터 이방인: 소설가 최지영의 소설 '북의'를 원작 한 드라마로 흉부외과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 라이프: 병원 내 권력과 인간의 욕망을 다룬 의학 드라마로 병원을 둘러싼 '권력'에 중점을 둬 정치 드라마적인 모습이 있다. 병원 내에 벌어지는 영리화, 의료사고 은폐, 무면허 의료 행위, 엘리트주의, 태움 등 각종 폐단에 시선을 보내는데 이런 점에서 사회 고발성이 강한 드라마이다.
  • 메디컬 탑팀: 흉부외과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리즈: 병원을 배경으로 한 의사 주인공 5명의 우정을 그린 일상물이다. 가장 추천하는 의사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 용팔이: 일반외과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 의사요한: 불치병, 말기암 환자들의 연명치료와 안락사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마취통증의학과 배경의 드라마이다.

 

 

 

반응형